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글마당] 남의 불행이 나의 행복일까

“조심스러운 이야기지만, 너의 가족 모두 건강하니? 노파심에서…”   친구에게 온 이메일이다. 갑자기 조심스러운 이야기라니? 전에 없던 안부 인사지만, 워낙에 길고 감칠맛 나게 글 쓰는 친구가 아니라 별생각 없이 요즈음 나의 근황을 답장했다.   “실은 이상한 소리가 들려서 걱정 많이 했다. 별일 없다니 다행이다.”   되돌아온 이메일에 뜨악했지만, 자세한 내용과 누가 이상한 소리를 했느냐고는 묻지 않았다.   살면서 사실과는 전혀 다른 우리 집안 소문에 나 자신도 놀란 적이 서너 번 있다. 한밤중에 문 두드리는 소리에 깨어 나가보니 친구 부부가 문 앞에 서서 놀란 표정으로 나를 살폈다.     “남편에게 두들겨 맞아 엉망이 됐다는 이야기를 듣고 급하게 달려왔어. 괜찮은 거야?”   남편에게 맞아 사경을 헤매는 것이 아니라 잠에 빠져 꿈속에서 헤매고 있는데 말이다. 자다가 일어나 술상을 차리고 밤새도록 애매한 술만 들이켰다.   남편이 잠시 서울에서 강의하느라 1년 나가 있었다.   “네 남편이 이혼하고 서울로 떠났다며? 괜찮은 거야?”   “이혼?”   “잉꼬부부였던 너희 부부가 이혼했다는 소리 듣고 설마 해서 전화한 거야. 정말 이혼했어?”   사람들은 내가 남편에게 두들겨 맞고 사경을 헤매다 이혼당하기를 원하나?     나 자신도 너무 놀라 의심이 들었던 소문 중의 하나는 서울에서 전화한 지인의 질문이었다.   “혹시 친정엄마 죽음이 자살이었나요?”   너무도 황당해 말문이 막혔다. 전혀 근거 없는 소문이다.   내 소문이 사실과 다르기에 남의 소문도 믿지 않다가 혼쭐났다. 점잖은 모임에서 만난 지인에게 물었다.   “사모님은? 함께 오시지 않았나요?”     지인이 화가 몹시 난다는 표정으로 소리 질렀다.   “그 사람 이야기를 왜 내게 해요?”   오랜 세월 참았던 고름이 터지듯 갑자기 폭발하는 그의 목소리에 주위 사람들이 놀라 돌아볼 정도였다.     다음날 그가 나에게 전화해서 사과했다.     “미안해요. 사실은 오래전 이혼했는데 말하지 않았어요.”     그동안 듣지 못한 그의 긴 사연을 들어야 했다. 그 이후론 모임에 혼자 나타나는 사람들에게 남편이나 부인의 안부를 절대 묻지 않는다. 안 보는 사이에 이혼이라도 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지인이 부인과 헤어지고 내가 몇 번 본적이 있는 사람과 사귄다는 소문이 돌았다. 말 못 할 사연이 있어 이혼하고 좋은 사람 만나 즐겁게 지낸다니 다행이다. 본인 입으로 말을 꺼내면 모를까 먼저 물어보지 않았다. 지루하고 힘든 삶 속에 가뜩이나 심심한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며 그들에게 나의 헛소문이 조금이라도 즐거움을 줬다고 생각하니 “누가 그런 쓸데없는 소리를 하느냐?”며 소문의 근원을 찾으려고 열 올리는 일은 생략하며 산다. 이수임 / 화가·맨해튼글마당 불행 행복 친구 부부 사람 이야기 친정엄마 죽음

2024-09-05

[열린광장] 고맙다, 친구야!

딸이 이사한 집을 보기 위해 남편과 뉴욕에 갔다. 딸 아이의 좁은 아파트가 갑갑해 우리는 매일 맨해튼으로 나가곤 했다. 뉴욕에서 더 볼 것도 없던 차에 버지니아에 사는 친구가 우리를 초대했다.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를 같은 교정에서 지내며 추억을 공유한 친구다. 미국 온 후 소식이 끊겼다가 페이스북으로 기적처럼 연결됐다.     몇 달 전 샌프란시스코에 사는 친구 딸 결혼식에 부부동반으로 참석했다가 우연히 남편끼리 초등학교 동창인 것도 알게 됐다. 그리고 서로 사는 곳을 방문하자고 약속했는데, 그 기회가 빨리 온 것이다.  뉴욕 펜스테이션에서 워싱턴 D.C.의 유니언 스테이션까지 4시간 걸리는 버스를 탔다.   직장인에게 휴가란 사막의 오아시스처럼 귀한 것인데 친구 부부는 나란히 휴가를 내서 우리를 맞아주었다. 신방을 꾸미듯 새 이부자리까지 준비한 친구의 마음 씀에 감동했다. 아늑함과 편안함으로 마치 내 집에 있는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친구와 함께라면 더 좋다(Life is better with friends)’는 글귀가 생각나며 5박 6일이 눈 깜짝할 사이에 지났다.     도착한 첫날 친구는 “우리 먹는 식탁에 숟가락만 더 올릴 거야‘라고 하더니 온갖 솜씨를 다 부려 상다리가 휘어지도록 음식을 준비했다.   그리고 현지인만 알 수 있는 맛집과 명소를 골라 우리를 안내하는 특급 서비스를 받았다. 친구는 우리가 안 가본 곳, 가보았어도 나이 탓인지 기억이 가물거리는 곳으로 여정을 짰다. 여행사 관광처럼 꼭두새벽에 일어나 비몽사몽 하지 않아도 되니 아침잠 많은 나에게 안성맞춤이었다. 늦은 나이에 타국에서 자리 잡기까지 고생한 공통점이 많아서일까, 우리 넷은 얘기도 잘 통했다.   하루도 허비하지 않는 알찬 시간이었다. 권사인 친구가 추천한 성서박물관은 '나일론신자'인 내게도 깊은 감흥을 줬다. 성경이 역사 속에서 어떤 역할을 해왔는지, 내 삶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됐다. 유럽의 화려한 박물관이나 미술관을 연상시키는 의사당 도서실도 인상적이었다. 이런 분위기에서 몇 시간씩 책을 읽으면서 머물고 싶었다.   영국 식민지시대 버지니아주의 주도였다는 윌리엄스버그는 비가 오락가락하는 날씨에도 흥미진진했다. 그 시대의 복장을 한 직원들이 18세기 미국의 모습을 꼼꼼하게 재현하며 시간여행을 시켜준다. 마을 전체가 민속촌이자 역사박물관이다. 돌아오는 길에  과속티켓을 받은 것이 ’옥에 티‘지만, 이제는 그것도 추억이 되었다.   셰넌도어 캠핑장에서 바비큐를 구워 먹고 고즈넉한 숲속을 산책했다. 내가 사는 남가주 지역에서는 보기 힘든 푸르름이 멋졌다. 인디언 처녀 포카혼타스가 셰넌도어 강 저편에서 카약을 저어 올 듯싶었다.    화려하고 경이로운 석회암 동굴인 룰레이 동굴 구경을 끝으로 아쉬운 관광을 마쳤다. 포토맥 강변에 벚꽃이 만발할 때 또 오라는 친구의 말이 고맙다. 남가주를 아직 안 와봤다니 조만간 얼른 집을 청소해 두고 불러야겠다. 이번 여행으로 더 깊고 단단해진 우정을 느낄 수 있어 행복하다. 고맙다, 친구야!! 최숙희 / 수필가열린광장 친구 권사인 친구 친구 부부 첫날 친구

2023-11-10

[살며 생각하며] 그랜드 마스터트래시(Grand Master Trash)

친구가 제시간에 나타나지 않는다. 걱정되기 시작했다. 나는 미술관 로비에서 서성이면서, 입구 쪽에 시선을 고정했다. 저기서 머리가 보였다. “A야, 왔어?” 너무 반가워서 끌어 않았다. A는 헐떡이며 다가온다. 먼 데서 지하철을 내려서 한참을 걸었다고 말한다. “Q 라인 타라고 했잖아.” “잊어버렸어.” 어쨌든 다행이다. 찾아서 오긴 왔으니. 친구는 멀리 뉴저지 중서부에 산다.    이틀 전, 나는 약속도 확인할 겸 A에게 전화를 걸었다. 전화를 받지 않는다. 다시 집으로 걸어서  음성 녹음을 남겼다. 세상일이 궁금하지 않은 그녀는 누가 전화를 했는지 카톡에 뭐가 오는지 관심이 없다. 궁금한 쪽은 세상 사람들이다. 지금의 나처럼. 얼마 전까지도 A의 남편에게 전화해서 연락하곤 했다. 남편은 그녀에게 세상을 연결해주는 고리 같은 존재였었다. 나의 녹음을 확인한 그녀에게 연락이 왔다.   “뭐 하고 있었는데 전화도 안 받아?” “뭐 좀 만들고 있었어. 카탈로그도 오리고 나무 판에 칠도 하면서….” “지내기 괜찮아?” “밥하는 거에서 해방됐으니 이제 빈둥거리며 살 거야. 나 하고 싶은 거 하면서.”   일 년 전쯤이다. 추위가 가시고 새 계절이 올까 말까 망설이던 어느 저녁 무렵이다. 식료품으로 가득 찬 창고 같은 차가 우리 집 드라이브 웨이에 잠깐 섰다. A는 와르르 무너질 것 같은 트렁크에서 곶감, 스모크드살몬, 브리 치즈를 꺼내서 주었다. 멀리 사는 친구 부부가 오랜만에 장을 보러 나온 외출이었다. 그러나 이번은 기색이 좀 달랐다.     “좀 들어와 쉬었다 가세요.” 운전석에서 내리지 않고 있는 A의 남편에게 말했다. “아녜요, 차에서 내리면 꼬꾸라질 것 같아요.” “우리 집 사람은 아무것도 모르는 철부지예요.”     왕복 4시간 길을 아내가 혼자 운전하여 장 보러 오지 못할 것이라고 걱정과 한탄이 섞인 어조였다. 그 사이 친구는 내 귀에 대고 울먹였다.     “키모를 너무 심하게 받아서 지금 복수가 차고, 어떻게 될지 모르는 상황이야….”       나는 어둠 속으로 사라지는 차를 향해 손을 흔들었다.     미술관 로비 의자에 걸터앉은 친구는 칭칭 감은 목도리며 장갑을 벗는다. 우리는 티켓을 산 후에 갤러리로 들어갔다. 인디언 문양처럼 화려한 팔각형의 작품이 커다랗게 걸려있다. 기하학적 디자인이 무슬림 궁전의 장식처럼 보이기도 한다. 아 그런데, 제목이 Grand master trash였다. 트래시? 쓰레기라니? 자세히 읽어보니 쓰레기를 수거해서 만든 작품이라고 한다. 깨지고 흠이 간 조개로 윤곽을 두르고 덴탈플로스를 여러 개 붙여서 물결처럼 보인다. 쓰다 버린 칫솔을 팜 트리 나무로, 단추를 나무 주위에 붙여서 무슨 탑 같기도 하다. 핑크 보라색 탐폰으로 구름처럼 부챗살 무늬를 만들기도 했다.   듀크 라일리라는 작가는 어떻게 쓰레기에 천착하게 되었을까? 브루클린 바닷가에서 노을이 지도록 고독하게 앉아 있다가 파도에 밀려오는 쓰레기를 보았을까. 그러다가 시대를 고민하는 작가답게 환경 문제를 생각했을까. 바닷가에 버려진 연필, 비눗갑, 샴푸 병을 수거해서 닦고 윤내고 칠하고 코팅을 입혔다. 전시장의 한쪽에는 산에서 강에서 쓰레기를 주우러 다니는 나이 든 남자의 비디오가 있었다. 이 작품은 분명 제2의 인생을 살고 있었다.     다 보고 나오니 거의 1시가 되었다. 일 층의 식당에서 점심을 했다. A는 갈 때는 어떻게 가냐고 물었다. A는 길을 다 찾아서 종이에 적어주던 남편이 정말 아쉽다고 한다. 남편을 먼저 보내고 고독한 시간을 보내고 있는 A. 친구는 제2의 인생을 가고 있는 듯했다. “정신만 똑바로 차리면 못 갈 것도 없는데” A는 담담하게 웃어 보였다. 그녀의 널따란 등짝이 지하철역으로 사라져 가고 있다. 김미연 / 수필가살며 생각하며 그랜드 마스터 grand master 친구 부부 미술관 로비

2023-02-0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